전체 글20 식공간 연출 - 음식과 색 (음식재료가 가지고 있는 색의 특성) 1. 음식과 색의 관계 음식 각각에는 본연의 색과 혼합의 색이 존재한다. 테이블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음식과 색의 관계는 푸드코디네이터에게는 중요한 연구의 영역이다. 음식을 구성하는 주재료의 색상을 이해하고 가공했을 때 변화되는 색을 알아야 안정적인 테이블 구성을 할 수 있으며, 훌륭한 연출을 할 수 있다. 사람의 미각기관은 우리가 먹는 음식물 속의 화합 물질로 자극을 받고, 후각 기관은 공기 중의 화합 물질로 자극을 받는다. 그러나 인간의 오감 중 후각은 2%, 촉각은 3%, 청각은 7%, 시각은 87%, 미각은 1%를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 연구 결과를 보듯이 시각이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반해 미각은 겨우 1%만을 차지하고 있다. 음식이 가지고 있는 .. 2023. 10. 30. 식공간 연출 - 색과 디자인 (색의 대비, 심리를 이용한 색채의 응용 ) 1. 색의 대비 우리가 어떤 하나의 색을 보는 경우에 그 색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색의 영향을 받아 그 색 자체만을 보는 경우와는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얼마든지 있다. 이와 같이 어떤 색이 다른 색의 영향으로 인하여 실제와는 다른 색으로 변해 보이는 현상을 색의 대비라고 한다. ❶ 색상대비 색상이 서로 다른 색채를 나란히 둘 때 두 색이 서로 영향을 받아 색상의 차이가 크게 보이는 효과를 색상 대비효과라 한다. 색채대비 중 가장 단순한 것으로서, 그다지 예민한 색채감각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빨강색 위에 있는 주황색은 상대적으로 노란색을 띄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노란색 위에 있는 주황색은 빨강색 기운이 더 느껴진다. 즉, 빨강색과 배색된 주황색은 빨강색과 색상차이를 내고, 노란색과 배색된 주황색은 노.. 2023. 10. 30. 식공간 연출 - 색과 디자인 (색채 심리학과 색의 3요소, 색채의 조화와 영향) 1. 색채 심리학적 정의 색채에 대한 정서적 반응, 이른바 색채심리학은 인간의 심리적 요인에 많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각 환경에 따른 색채의 유형에 의해서도 색채는 실제적인 목적 달성에 주로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길버트 브릭하우스(Gilbert Brighouse)는 그의 이론에서 인간의 감정은 매우 다양하고 개인적인 성향마다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색채에 대한 반응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통된 일반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능력 있는 푸드코디네이터는 좋은 색상 배합을 통하여 더 큰 효과를 나타내며 고객으로 좋은 평가를 받게 된다. 우리는 누구나 개인적인 또는 집합적 선호 컬러를 가지고 있다. 연령이나 성별, 분위기 혹은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선호색은 .. 2023. 10. 30. 식공간 코디네이션 - 장식 예술, 빛의 예술, 색의 예술, 꽃의 예술 식(食) 공간(空間)이란 음식을 먹는 공간을 의미한다. 하지만 예전의 의미와는 많이 상이하게 인지되고 있다. 가정이나 상업적인 공간의 변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먹는 공간뿐만 아니라 만들어지는 공간,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의 공간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과 먹는 공간이 분리되어진 배치가 많았다. 그러나 식생활의 변화와 경제적, 사회적 상황의 변화로 인하여 준비공간과 먹는 공간의 벽이 무너지고 하나의 공간에서 모든 상황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특히 상업적인 공간에서의 합일화(合一化)는 고객들의 신뢰와 종사원들의 자긍심을 갖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가정에서도 주방의 역할이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었는데 이는 가족 간 대화의 통로 내지는 가족 간 화합의 자리로 많이 이용되기 때.. 2023. 10. 2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