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 식공간 연출 - 게스탈트 이론 게스탈트란 1900년경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들이 인간 행위에 있어서 “형태 추구”에 기초 한 여러 개념을 확립하였는데 이는 시각의 경험을 바탕으로 촉각보다는 우선한다는 이론이다. 형태를 지각할 때 작용하는 감각은 주로 시각과 촉각이다. 이들 두 지각은 각기 독자적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우리가 지닌 지식의 대부분은 눈을 통해 얻어지는데, 시각은 촉각보다 예민하고 정밀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촉각에 속하는 감각을 보는 것만으로 느낄 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인간의 시각은 다른 감각보다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시각 게스탈트의 원칙을 철저히 이해하는 일은 디자이너에게 무한한 수단을 부여하는 것이다. 우리는 디자인을 보는 사람들이 명백하고 분명한 게스탈트에 반응할 것을 알.. 2023. 10. 30. 식공간 연출 - 디자인의 요소들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요소는 아래와 같다. 1. 형태(形態,) 형태는 주로 시각과 촉각에 의해 지각되기 때문에 색과 함께 대상의 감각적 경험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형(形)이란 어떤 형체의 윤곽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형태(形態)는 형(形)으로 이루어진 윤곽, 내부형태, 구조형을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것으로서 3차원적 표현 용어이다. 형태의 기본요소는 점, 선, 면, 입체로 구분된다. ►점 : 기하학적 정의에 의하면 면적이 없이 위치만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조형 요소로서 점은 도면상에 비교적 작은 면적을 점하는 것이라 한다. ►선 : 선은 시각적 요소들 가운데 매우 중요한 것으로 기하학에서 ‘무수한 점들의 연속’으로 정의하며, ‘점이 이동하고 남긴 경로’이며, ‘하나의 이어진 동작을 눈으.. 2023. 10. 30. 식공간 연출 - 디자인의 4가지 중요 조건 좋은 디자인이란 제품의 질을 정의할 때 쓰는 말로서, 작동이 간편하고 모양도 아름다운 제품을 가리킨다. 특정한 디자인 상황을 이루는 아름다움과 시대적 요소, 기능과 같은 여러 요소라든지 더 나아가 오늘날의 기술적 지식을 조화시켜 기능이 원활한 제품으로 만드는 것까지를 말하며 아래의 다양한 조건을 지닌다. 1. 합목적성 사물이 일정한 목적에 적합한 방식으로 존재하는 성질을 말한다. 디자인에 있어서 합목적성을 말할 때는 디자인을 요구하는 사회적 여건과 디자인, 인간, 환경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뜻한다. 목적이란, 실용적으로 쓰여야 하는 목적을 말하는데 ‘실용성(實用性)’ 또는 ‘기능성(技能性)’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기능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사용’할 때 파생되는 심리적.. 2023. 10. 30. 식공간 연출 - 디자인의 이해 (디자인의 정의와 이론, 목적) 1) 디자인의 정의 디자인의 개념을 보면 Design은 라틴어의 Designare를 어원으로 하고 있는데, 어원의은 de(out, form) + signare( to make) =to make out, define으로 ‘계획을 명시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현대 디자인은 국민 생활의 충실, 수요창조, 산업경제의 활성화, 생활문화의 창조 등으로 과거 단순한 외관의 미적 추구 개념에서 그 영역이 대폭 확대되어 그 정의를 내리기가 어려워졌다. 그리고, 현대적 의미의 디자인이 우리 주변과 항상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우리생활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은 마케팅의 한 분야로서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재인식의 계몽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렇듯 생활 도구로서의 디자인은 물질문명과 정신문화 사이에서 균형을 취하는 .. 2023. 10. 30. 이전 1 2 3 4 5 다음